'꼭 해야 해?' '아마 그럴지도 몰라' 조동사 part2. must, may, might

반응형

'꼭 해야 해?' '아마 그럴지도 몰라' 조동사 part2. must, may, might

must·may·might로 말하는 확신의 온도

 

영어에서 문장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조동사입니다.
그중에서도 must, may, might는 말하는 사람의 확신 정도를 표현할 때 자주 쓰이죠.
세 단어 모두 "~일 것이다", "~일 수도 있다"는 식으로 추측이나 의무를 나타내지만,
그 안에 담긴 뉘앙스는 전혀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조동사를 비교하면서,
must 의미의 단호함, may 쓰임의 가능성, might 용법의 조심스러운 추측을 실제 예문과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꼭 해야 해?” “아마 그럴지도 몰라” 조동사 part2. must, may, might


1. 조동사 must – 강한 확신과 의무의 표현

must는 ‘꼭 ~해야 한다’는 의무뿐만 아니라,
‘틀림없이 ~일 거야’라는 강한 확신까지 담고 있습니다.
이 조동사를 사용할 때는 말하는 사람의 자신감이 매우 높다는 점이 특징이에요.

✅ 의무 표현

  • You must wear a seatbelt.
    안전벨트를 반드시 매야 해.

✅ 강한 추측

  • He must be tired.
    그는 분명히 피곤할 거야.

✅ 금지 표현 (must not)

  • You must not touch this button.
    이 버튼을 절대 누르면 안 돼.

📌 요약: must 의미는 "해야만 한다" 혹은 "틀림없다"로, 확신과 명령의 느낌이 가장 강한 조동사입니다.


2. 조동사 may – 가능성을 말할 땐 이만한 게 없지

may가능성, 허락, 정중한 요청을 표현할 수 있는 조동사로,
확신은 낮지만 공손하고 중립적인 어조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식적인 상황에서 자주 등장하죠.

✅ 가능성

  • It may rain later.
    나중에 비가 올지도 몰라.

✅ 허락

  • You may leave now.
    지금 가셔도 됩니다.

✅ 요청

  • May I speak to the manager?
    매니저와 통화할 수 있을까요?

📌 요약: may 쓰임은 ~일 수도 있다는 중간 정도의 가능성정중한 표현을 전달할 때 효과적입니다.


3. 조동사 might – 조심스럽고 겸손한 추측

mightmay보다 한 단계 낮은 가능성을 전달합니다.
또한 말하는 사람이 확신이 없거나 조심스러운 추측을 할 때 자주 사용돼요.
비즈니스 이메일이나 겸손한 말투를 쓸 때 자주 등장합니다.

✅ 낮은 가능성

  • She might be late.
    그녀가 늦을 수도 있어.

✅ 조심스러운 제안

  • We might want to double-check that.
    그걸 다시 한번 확인해보는 게 좋을지도 몰라.

📌 요약: might 용법가능성은 있지만 확신은 없는 상태로, 말하는 사람이 신중한 태도를 취할 때 사용합니다.


4. 같은 상황, 다른 조동사 → 확신의 온도 변화

세 조동사는 똑같은 문장 구조에서 확신의 세기에 따라 완전히 다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 He must be home.
    분명 집에 있을 거야. (확신 95% 이상)
  • He may be home.
    아마 집에 있을지도 몰라. (확신 60~70%)
  • He might be home.
    집에 있을 수도 있어. (확신 40~50%)

📌 확신의 뉘앙스가 달라지는 것을 직접 비교해보면,
조동사를 제대로 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확 느껴집니다.


5. 조동사 뉘앙스 정리 표

조동사 대표 의미 확신 정도 예시 문장
must 의무, 강한 추측 매우 강함 You must finish it today.
may 허락, 가능성 중간 It may snow tonight.
might 약한 가능성, 조심스러운 추측 낮음 I might see him later.

 

이처럼 조동사는 단순히 문법 요소가 아니라,
말의 뉘앙스, 감정, 태도를 전달하는 섬세한 장치예요.


마무리: must, may, might는 영어의 온도 조절기

영어 대화에서 "그럴지도 몰라요"와 "그건 틀림없어요"는 완전히 다르죠.
must 의미의 단호함, may 쓰임의 중립성, might 용법의 조심스러움은
조동사 하나로 확신의 온도를 조절하게 해줍니다.

오늘 소개한 조동사들을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면,
단순히 문법을 넘어서 진짜 의도를 전달하는 영어 표현을 할 수 있게 될 거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