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영어 비교급과 최상급 기초부터 예문까지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더 빠르다”, “가장 예쁘다” 같은 표현을 자주 쓰게 됩니다.이런 표현은 바로 비교급(comparative)과 최상급(superlative)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비교급과 최상급의 기본 규칙부터 예외, 다양한 활용법까지예문과 함께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비교급과 최상급이란?비교급(comparative): 두 가지를 비교할 때 씁니다.→ 영어로는 ‘~보다 더 …한’ 의미→ 예) taller (더 키가 큰), faster (더 빠른)최상급(superlative): 셋 이상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을 말할 때 씁니다.→ 영어로는 ‘가장 …한’ 의미→ 예) tallest (가장 키가 큰), fastest (가장 빠른)2. 비교급..
영어 수동태 쉽게 정리하기 be + p.p. 구조 영어 문장을 공부하다 보면 한 번쯤 이런 문장을 본 적 있을 겁니다:"The book was written by her."(그 책은 그녀에 의해 쓰였다.)이 문장은 바로 수동태(passive voice)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영어 수동태가 무엇인지, 어떻게 만들고 사용하는지,또 헷갈리기 쉬운 시제 변화와 by + 행위자 표현까지 예문 중심으로 정리해 드릴게요. 1. 수동태란 무엇인가요?영어 문장은 보통 ‘누가 무엇을 한다’라는 구조, 즉 능동태(active voice)로 이루어집니다.He writes a letter. (그는 편지를 쓴다.)➡ 주어(He)가 직접 동작(writes)을 하는 구조예요.그런데 행위자가 아니라 대상에 초점을 맞추고 싶을 때는 수동..
영어 의문사로 질문하는 모든 방법, 예문으로 배우는 영어 질문 기초 영어 문장을 만들 때 가장 기본이자 핵심이 되는 것이 바로 영어 의문사입니다.질문을 시작하는 영어 의문사는 문장의 형태를 바꾸고, 문장 구조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영어 문장 구조에서 자주 쓰이는 의문사 문장을Be동사, 일반동사, 조동사 구조로 나누어 설명하고,의문사의 종류와 주의할 표현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1. 영어 의문사 문장의 기본 구조 3가지(1) Be동사 구조의문사 + be동사 + 주어 (+ 보어)상태나 정체, 위치 등을 묻는 질문에서 사용됩니다.예문:Who is she? (그녀는 누구예요?)Where are they? (그들은 어디에 있어요?)Why was he sad? (그는 왜 슬펐어?)👉 be동..
가주어진주어 구문 정리: 자연스러운 영어 문장의 시작 영어 문장을 보다 보면 "It is important to~", "There is a~"처럼 ‘It’이나 ‘There’로 시작하는 문장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이런 문장에서 ‘It’이나 ‘There’는 사실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지 않습니다.그보다는 문장의 시작을 자연스럽게 해 주기 위한 장치, 즉 ‘자리를 채워주는 주어 역할’을 하고 있을 뿐입니다.이렇게 진짜 주어를 문장 뒤로 보내고, 그 자리를 먼저 채워주는 표현을 가주어진주어 구문이라고 합니다. 1. 왜 가주어진주어 구문이 필요할까?영어는 보통 ‘주어 + 동사’ 순서를 따르는 언어입니다. 하지만 주어가 너무 길거나 복잡하면 문장이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이럴 때 영어에서는 진짜 주어를 뒤로 ..
to부정사 vs 동명사: 동사별 쓰임과 예문 총정리 영어 문법에서 to부정사(to + 동사원형)와 동명사(동사 + -ing)는동사 뒤에 올 때 의미와 쓰임이 달라 헷갈리기 쉽습니다.특히 어떤 동사가 오느냐에 따라 둘 중 하나만 쓰이거나,둘 다 가능하지만 뜻이 달라지기도 하죠.이번 글에서는to부정사와 동명사의 기본 개념동사 유형별 쓰임법대표 예문과 한글 해석을 쉽고 명료하게 설명해 드립니다.1. to부정사와 동명사의 기본 개념to부정사는 “~하기 위해서”라는 목적이나 미래지향적 의미를 가집니다.예) I want to study English.→ 나는 영어를 공부하고 싶다.동명사는 “~하는 것” 즉, 동작 자체나 경험, 습관을 나타냅니다.예) I enjoy studying English.→ 나는 영어 공부를..
영어 문법 기초: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 핵심 정리 영어 문법에서 가장 기본이자 중요한 규칙 중 하나는 주어 동사 수 일치입니다.이 규칙을 제대로 이해하면 문장의 정확도와 자연스러움이 크게 향상됩니다.특히 3인칭 단수 현재형 동사의 -s/-es 규칙은 실수하기 쉬운 부분이므로 꼭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내용을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정리해 보겠습니다.1.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반드시 동사에 변화가 생긴다‘3인칭 단수 주어’란 he, she, it 또는 단수 명사(the dog, my friend 등)를 말합니다.이 주어들과 함께 현재 시제의 일반 동사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동사에 -s나 -es를 붙여야 합니다.일반적으로 동사 끝에 -s를 붙입니다.예: play → play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