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역동사 완전 정리! 영어 문장 속 '시키다'를 표현하는 법
make, let, have 그리고 help, get까지 한번에 익히기
영어 문장을 공부하다 보면 “누군가에게 ~하게 하다”라는 의미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핵심 표현이 바로 사역동사(make, let, hav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역동사의 쓰임과 구조, 그리고 헷갈리기 쉬운 준사역동사(help, get)까지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
✅ 사역동사란?
사역동사는 ‘~하게 하다’, ‘~하게 시키다’의 의미로
다른 사람이 어떤 동작을 하도록 시킨다는 의미의 문장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영어에서는 주로 아래 세 가지 동사가 사역동사로 쓰입니다.
make, let, have
📌 사역동사 문장 구조
사역동사는 공통적으로 아래의 5형식 문장 구조를 따릅니다.
주어 + 사역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동사원형)
🔹 예문
- My mom made me clean my room.
(엄마는 나에게 방을 청소하게 하셨다.) - He let his son stay up late.
(그는 아들이 늦게까지 깨어 있도록 허락했다.) - The teacher had the students write an essay.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에세이를 쓰게 했다.)
💡 중요: 목적어 뒤에 to 없이 동사원형이 오는 것이 핵심입니다. (시험에서 어법 문제로 자주 출제되는 유형이니 꼭 기억하세요.)
단, 사물이 목적어일 때는 수동 구조로 바뀌며 과거분사가 올 수 있습니다.
(예: She had her hair cut.)
✅ 사역동사별 차이점
사역동사 make, let, have는 상황상 미묘한 의미의 차이가 있습니다.
동사 | 의미 | 특징 |
---|---|---|
make | 강제로 시키다 | 다소 강한 어감 |
let | 허락하다 | 자유롭게 허용하는 의미 |
have | 부탁 또는 지시하다 | 업무 위임, 요청 등 자연스러운 느낌 |
⚠️ 유의사항: 사역동사 뒤 동사는 to 안 씀!
사역동사 뒤에는 to 없이 동사원형을 씁니다.
→ 틀린 예: He made me to go. (❌)
→ 바른 예: He made me go. (⭕)
✅ 준사역동사란?
준사역동사는 사역동사처럼 ‘~하게 하다’의 의미를 가지지만,
문장 구조나 의미가 사역동사와는 조금 다릅니다. 준사역동사는 대표적으로 help, get이 있습니다.
1. 🔹 help: 목적어가 ~하도록 돕다
help + 목적어 + 동사원형 / to부정사
→ 둘 다 가능하지만 동사원형이 더 자주 쓰입니다.
- She helped me finish the project.
(그녀는 내가 프로젝트를 끝내는 것을 도왔다.) - He helped me to carry the boxes.
(그는 내가 상자를 옮기도록 도와주었다.)
2. 🔹 get: 목적어를 설득해서 ~하게 하다 (to 필요)
get + 목적어 + to부정사 구조 사용
- I got him to fix my bike.
(나는 그가 내 자전거를 고치게 했다.)
💡 get은 to가 꼭 필요합니다!
→ ❌ I got him fix my bike. (틀림)
→ ⭕ I got him to fix my bike.
🧩 사역 vs 준사역 비교
구분 | 동사 | 구조 | 예문 |
---|---|---|---|
사역동사 | make, let, have | 목적어 + 동사원형 | She made me cry. |
준사역동사 | help | 목적어 + 동사원형 / to부정사 | She helped me (to) learn. |
준사역동사 | get | 목적어 + to부정사 | I got him to join. |
📝 마무리하며
사역동사와 준사역동사는 실생활에서도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는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쓰이며,
시험이나 회화에서도 출현 빈도가 높습니다.
특히 make / let / have + 동사원형, get + to부정사, help + (to) 동사원형의 구조는
정확히 구분해서 외워두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엄마가 나를 청소하게 했다”라는 상황에서는 사역동사 make를 사용해
My mom made me clean the room.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는 친구를 도와 숙제를 하게 했다”는 문장은 help를 써서
He helped his friend (to) do the homework*처럼 나타낼 수 있죠.
이처럼 사역동사와 준사역동사는 실제 상황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기 때문에,
구조와 의미를 정확히 익혀두면 표현력이 한층 더 풍부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