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을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연결고리, 관계대명사 who·which·that

반응형

문장을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연결고리, 관계대명사 who·which·that

 

영어로 문장을 쓰다 보면, 두 문장에서 같은 대상을 반복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관계대명사를 사용하면 문장을 간결하고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는 말 그대로 '관계사(문장 연결)' + 대명사(명사 대신)'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앞에 나온 명사(=선행사)를 대신해 뒤 문장(=관계절)을 붙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 I met a boy. He was very tall.
    → I met a boy who was very tall.
    (나는 키가 아주 큰 소년을 만났다.)

위 문장에서 a boy선행사, who was very tall관계절, 전체 문장은 주절 + 관계절 구조입니다.
이처럼 관계대명사는 두 문장을 연결하면서 중복된 단어를 생략하고, 더 풍부한 정보를 한 문장에 담을 수 있게 해 줍니다.

 

 

문장을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연결고리, 관계대명사 who·which·that

 


1. 선행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관계대명사: who / which / that

관계대명사는 연결하려는 선행사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사용됩니다.

 

관계대명사 선행사 종류 예문
who 사람 The woman who called you is my teacher.
(너에게 전화한 여자는 내 선생님이다.)    
which 사물/동물 The book which is on the table is mine.
(책상 위에 있는 그 책은 내 것이다.)    
that 사람, 사물 모두 The dog that barked all night kept me awake.
(밤새 짖던 그 개 때문에 잠을 설쳤다.)    

💡 that은 사람, 사물 모두에 쓸 수 있는 유연한 표현이지만, 공식 문서나 격식 있는 글에서는 who/which 사용을 권장합니다.


2. 격에 따라 달라지는 관계대명사: 주격 / 목적격 / 소유격

관계대명사는 관계절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구분됩니다. 이것이 바로 격(格)입니다.

주격 관계대명사

→ 관계절에서 주어 역할을 합니다.

  • The man who lives next door is a doctor.
    (옆집에 사는 남자는 의사다.)
  • The movie that made me cry was beautiful.
    (나를 울린 그 영화는 아름다웠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 관계절에서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 The girl who I met yesterday was kind.
    (어제 내가 만난 그 소녀는 친절했다.)
  • The cake which she baked was delicious.
    (그녀가 구운 케이크는 맛있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종종 생략 가능합니다. (3번에서 자세히 설명)

소유격 관계대명사

→ 선행사와 관계절 사이의 소유 관계를 나타냅니다.

  • The student whose notebook is blue is absent.
    (노트가 파란색인 학생이 결석했다.)
  • I met a man whose car broke down.
    (나는 차가 고장 난 남자를 만났다.)

주의: 소유격 관계대명사 뒤에는 반드시 명사가 옵니다!
예) whose bag, whose name, whose idea


3. 관계대명사가 생략될 수 있는 두 가지 경우

영어 문장에서는 불필요한 반복을 줄이기 위해 관계대명사 생략이 종종 발생합니다. 하지만 아무 때나 생략할 수는 없고, 특정 조건에서만 가능합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생략

관계절 안에서 관계대명사가 목적어 역할을 할 경우, 이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 The bag (which) I bought is expensive.
    → The bag I bought is expensive.
    (내가 산 가방은 비싸다.)

❌ 주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없습니다.

  • The man who works here is my uncle. → (생략 불가)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 생략

관계절이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로 시작되는 경우, 두 요소를 함께 생략할 수 있습니다.

  • The girl who is singing is my friend.
    → The girl singing is my friend.
    (노래 부르고 있는 그 소녀는 내 친구다.)
  • The people who are waiting outside look tired.
    → The people waiting outside look tired.
    (밖에서 기다리는 사람들은 피곤해 보인다.)

마무리 요약

관계대명사는 문장을 더 풍부하고 연결감 있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문법입니다.
오늘 정리한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관계대명사는 선행사의 종류에 따라 who, which, that으로 나뉜다.
  2. 문장에서의 역할(격)에 따라 주격, 목적격, 소유격으로 구분된다.
  3. '목적격 관계대명사'와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 조합은 생략이 가능하다.

이제 관계대명사를 활용해 더 자연스러운 영어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