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 ~ that ... / too ~ to ... 완벽 정리|비슷해 보여도 다른 영어 구문
영어 문장을 읽다 보면 so ~ that, too ~ to, enough to 구문이 자주 보입니다.
이 세 가지 표현은 모두 정도나 결과를 나타내며, 문장의 길이나 구조가 비슷해 처음에는 헷갈리기 쉽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구문들을 비교하며 깔끔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특히 헷갈리기 쉬운 so that 구문과 so ~ that 구문의 차이도 유의사항으로 다룹니다.
✅ so ~ that 구문: 너무 ~해서 ~하다
💡 기본 구조
so + 형용사/부사 + that + 주어 + 동사
이 구문은 "너무 ~해서 ~하다"는 뜻으로, 앞에 나오는 형용사나 부사의 정도가 강해서 뒤에 오는 결과가 일어난다는 의미입니다.
🔹 예문
- She was so tired that she couldn’t keep her eyes open.
(그녀는 너무 피곤해서 눈을 뜰 수 없었다.) - The boy ran so fast that nobody could catch him.
(그 소년은 너무 빨리 달려서 아무도 그를 따라잡을 수 없었다.) - It was so cold that the lake froze.
(너무 추워서 호수가 얼었다.)
이처럼 so ~ that 구문은 원인(so + 형용사/부사)과 결과(that 이하)를 연결합니다.
⚠️ 유의사항: so that 구문과의 혼동 주의
많은 분들이 혼동하는 표현이 바로 so that 구문입니다.
하지만 so ~ that과 so that은 전혀 다른 구조입니다.
구문 | 의미 | 구조 |
---|---|---|
so ~ that | 너무 ~해서 ~하다 | so + 형/부 + that + 주어 + 동사 |
so that | ~하기 위해, 그 결과 | so that + 주어 + can/will + 동사 |
🔸 예시 비교:
- He was so tired that he fell asleep.
(너무 피곤해서 잠들었다.) ← 정도와 결과 - He studied hard so that he could pass the test.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했다.) ← 목적/결과
so that 구문은 can, will, could, would 등 조동사와 함께 쓰이며 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냅니다.
반면, so ~ that은 조동사 없이 형용사나 부사를 강조해 정도의 결과를 표현합니다.
✅ too ~ to 구문: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 기본 구조
too + 형용사/부사 + to부정사
이 구문은 "너무 ~해서 ~할 수 없다"는 의미로, 불가능을 강조합니다.
🔹 예문
- This bag is too heavy to carry.
(이 가방은 너무 무거워서 들 수 없다.) - He is too young to vote.
(그는 투표하기에는 너무 어리다.) - I was too nervous to speak.
(너무 긴장해서 말할 수 없었다.)
이 구문은 부정적인 결과를 표현한다는 점에서 so ~ that과 구별됩니다.
✅ enough to 구문: ~하기에 충분히 ~하다
enough to
구문은 too ~ to
구문과 자주 비교됩니다.
의미는 정반대이며, 긍정적인 가능성을 표현합니다.
💡 기본 구조
형용사/부사 + enough + to부정사
혹은
enough + 명사 + to부정사
🔹 예문
- She is old enough to drive.
(그녀는 운전하기에 충분히 나이가 들었다.) - He speaks clearly enough to be understood.
(그는 이해될 정도로 충분히 또렷하게 말한다.) - We have enough money to buy a house.
(우리는 집을 살 만큼 충분한 돈이 있다.)
비교:
He is too young to drive. (운전할 수 없을 정도로 어리다)
He is old enough to drive. (운전할 수 있을 정도로 나이가 들었다)
📌 요약 정리
구문 | 의미 | 구조 | 해석 방향 |
---|---|---|---|
so ~ that | 너무 ~해서 ~하다 | so + 형/부 + that + 주어 + 동사 | 긍정적 결과 |
so that | ~하기 위해 | so that + 주어 + can/will + 동사 | 목적 또는 가능 |
too ~ to |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 too + 형/부 + to부정사 | 부정적 결과 |
enough to | ~하기에 충분히 ~하다 | 형/부 + enough + to부정사 | 긍정적 가능 |
✨ 마무리하며
오늘 알아본 so ~ that 구문, too ~ to 구문, 그리고 함께 비교한 enough to 구문은 모두 문장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만들고, 의미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영어 구문입니다.
특히 so that과 so ~ that은 문장 구조와 의미가 다르므로 반드시 구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이 글을 통해 혼동을 줄이고, 영어 문장 해석과 작문에 자신감을 얻으셨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이런 핵심 구문들을 더 소개해 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