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정말 예뻐!’ 영어로는 어떻게 말할까? 영어 감탄문 총정리 영어 문장을 읽거나 말할 때, 감탄을 표현하고 싶었던 적 있지 않으신가요?한국어에서는 “정말 멋져!”, “어마어마한 거야!”, “얼마나 예쁜지 몰라”처럼 감정을 강조하곤 합니다.영어에서도 이런 감탄을 표현할 수 있는 문장이 따로 있습니다. 바로 감탄문이에요.이 글에서는 영어 감탄문의 대표 형태인 ‘What a 형용사 + 명사’, ‘How + 형용사/부사’ 구문을 중심으로기본 구조, 차이점, 예문, 유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 📌 영어 감탄문이란?감탄문(exclamatory sentence)은 말 그대로 감탄이나 놀라움, 칭찬 등의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우리말로는 “와, 정말 예쁘다!”, “세상에 이런 일이!”, “정말 멋진 공..
영어 명령문 예문 모음|일상회화에 바로 쓰는 문장까지 영어 문장에서 명령은 어떻게 표현할까요?누군가에게 무언가를 하라고 하거나, 하지 말라고 할 때 우리는 명령문을 사용합니다.한국어에서는 “문 닫아”, “조용히 해”, “가지 마”처럼 간단한 형태로 쓰이죠.영어에서도 명령문은 간결하고 직설적인 문장 구조를 가집니다.이번 글에서는 영어 명령문의 기본 개념과 만드는 방법, 다양한 예문과 유의사항까지 정리해 드릴게요. 📌 명령문이란?명령문(imperative sentence)은 지시, 명령, 요청, 충고 등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주어가 생략된 채 동사 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예시:Sit down. (앉아.)Be quiet. (조용히 해.)Don’t touch that. ..
물은 얼마나 있고, 컵은 몇 개 있을까?수량형용사: many, much, a few, a little 차이 우리는 종종 “물이 좀 있어”, “컵이 많아” 같은 표현을 영어로 말하려다 막히곤 합니다.왜냐하면 영어에서는 명사가 ‘셀 수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수량을 표현하는 형용사, 즉 수량형용사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컵의 개수는 1, 2, 3... 이렇게 셀 수 있으니 셀 수 있는 명사(countable noun)입니다.반면, 컵에 담긴 물의 양은 물질 명사이므로 셀 수 없으니 셀 수 없는 명사(uncountable noun)입니다.이처럼 정확한 수량을 알 수 없거나 어림잡아 말할 때우리는 수량형용사(quantifiers)를 사용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자주 혼동되는 many, much, a few..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쉽게 이해하기 영어 문법에서 관계대명사 what은 조금 특별한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인 관계대명사와 달리, 선행사를 따로 필요로 하지 않고 ‘the thing which’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은 ‘~하는 것, ~한 것’이라는 의미로 명사절을 이끄는 매우 유용한 표현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관계대명사 what의 의미, 문장 구조, 쓰임, 그리고 다양한 예문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관계대명사 what의 기본 의미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 없이 사용되며,‘the thing which’의 뜻을 가집니다.즉, ‘~하는 것, ~한 것’이라는 의미로,앞에 어떤 명사가 없이 바로 명사절 역할을..
used to? be used to? get used to?|의미가 헷갈리는 구문 정리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used to, be used to, get used to 세 가지 표현에서 혼란을 느끼기 쉽습니다.모두 비슷하게 생겼지만 뜻도 문법도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구별이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세 표현의 차이를 명확히 정리하고, 자주 나오는 오답 유형, 그리고 문장 속 정확한 사용법을 예문과 함께 소개합니다.한 번에 정리하고 헷갈림 없이 사용해 보세요! ✅ 1. used to: 과거에 ~하곤 했다📍 의미지금은 아니지만 과거에 자주 하던 행동이나 상태를 말할 때 씁니다.‘한때는 그랬지만 지금은 아니다’가 핵심입니다.📍 문장 구조used to + 동사원형📍 예문I used to live in S..
so ~ that ... / too ~ to ... 완벽 정리|비슷해 보여도 다른 영어 구문 영어 문장을 읽다 보면 so ~ that, too ~ to, enough to 구문이 자주 보입니다.이 세 가지 표현은 모두 정도나 결과를 나타내며, 문장의 길이나 구조가 비슷해 처음에는 헷갈리기 쉽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구문들을 비교하며 깔끔하게 정리해 드립니다.특히 헷갈리기 쉬운 so that 구문과 so ~ that 구문의 차이도 유의사항으로 다룹니다. ✅ so ~ that 구문: 너무 ~해서 ~하다💡 기본 구조so + 형용사/부사 + that + 주어 + 동사 이 구문은 "너무 ~해서 ~하다"는 뜻으로, 앞에 나오는 형용사나 부사의 정도가 강해서 뒤에 오는 결과가 일어난다는 의미입니다.🔹 예문Sh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