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to부정사 vs 동명사: 동사별 쓰임과 예문 총정리 영어 문법에서 to부정사(to + 동사원형)와 동명사(동사 + -ing)는동사 뒤에 올 때 의미와 쓰임이 달라 헷갈리기 쉽습니다.특히 어떤 동사가 오느냐에 따라 둘 중 하나만 쓰이거나,둘 다 가능하지만 뜻이 달라지기도 하죠.이번 글에서는to부정사와 동명사의 기본 개념동사 유형별 쓰임법대표 예문과 한글 해석을 쉽고 명료하게 설명해 드립니다.1. to부정사와 동명사의 기본 개념to부정사는 “~하기 위해서”라는 목적이나 미래지향적 의미를 가집니다.예) I want to study English.→ 나는 영어를 공부하고 싶다.동명사는 “~하는 것” 즉, 동작 자체나 경험, 습관을 나타냅니다.예) I enjoy studying English.→ 나는 영어 공부를..
관계부사 제대로 이해하기: when, where, why 영어 문장을 쓰다 보면, 시간이나 장소, 이유를 자연스럽게 덧붙이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이럴 때 문장을 매끄럽게 이어주는 것이 바로 관계부사입니다.관계부사는 두 문장을 하나로 연결하면서, 시간·장소·이유와 같은 정보를 부사처럼 첨가하는 역할을 합니다.관계대명사와 비슷하게 앞에 있는 명사(선행사)를 꾸며주는 구조이지만, 문장 안에서 부사의 기능을 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1. 관계부사의 개념과 기본 구조관계부사는 ‘전치사 + 관계대명사’ 구조를 간결하게 만든 표현으로, 선행사(명사)를 꾸미면서 뒤에 부사절(관계절)을 이끕니다.예문:I remember the day. I met her on that day.→ I remember the day when ..
문장을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연결고리, 관계대명사 who·which·that 영어로 문장을 쓰다 보면, 두 문장에서 같은 대상을 반복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관계대명사를 사용하면 문장을 간결하고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관계대명사는 말 그대로 '관계사(문장 연결)' + 대명사(명사 대신)'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앞에 나온 명사(=선행사)를 대신해 뒤 문장(=관계절)을 붙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I met a boy. He was very tall.→ I met a boy who was very tall.(나는 키가 아주 큰 소년을 만났다.)위 문장에서 a boy는 선행사, who was very tall는 관계절, 전체 문장은 주절 + 관계절 구조입니다.이처럼 관계대명사는 두 ..
짧은데 까다로운 전치사, in/on/at 구별하는 법 영어에서 전치사는 작지만 강력한 품사입니다.그중에서도 in, on, at은 시간과 장소를 말할 때 자주 등장하지만,정확히 구분해서 쓰는 게 쉽지 않죠.예를 들어,“월요일에 만나요”는 on Monday,“6월에 만나요”는 in June,“정오에 만나요”는 at noon이라니... 왜 이렇게 다를까요?이 글에서는 시간 전치사, 장소 전치사의 기본 개념과 함께전치사 in on at의 용법을 한 번에 정리하고,실제로 많이 틀리는 예문들을 분석해 드릴게요. ✅ 1. 시간 전치사: ‘언제’인지에 따라 달라지는 선택시간을 말할 때 in, on, at은 포인트냐, 구간이냐, 구체성이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in – 넓은 시간 단위 (월, 연도, 계절 등)in Jun..
'꼭 해야 해?' '아마 그럴지도 몰라' 조동사 part2. must, may, mightmust·may·might로 말하는 확신의 온도 영어에서 문장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조동사입니다.그중에서도 must, may, might는 말하는 사람의 확신 정도를 표현할 때 자주 쓰이죠.세 단어 모두 "~일 것이다", "~일 수도 있다"는 식으로 추측이나 의무를 나타내지만,그 안에 담긴 뉘앙스는 전혀 다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조동사를 비교하면서,must 의미의 단호함, may 쓰임의 가능성, might 용법의 조심스러운 추측을 실제 예문과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1. 조동사 must – 강한 확신과 의무의 표현must는 ‘꼭 ~해야 한다’는 의무뿐만 아니라,‘틀림없이 ~일 거야..
'할 수 있다'만이 전부가 아냐! 조동사 part 1. can, will, should “Can I open the window?”“You should wear a jacket.”“I’ll be there in 5 minutes.”일상에서 자주 듣는 이런 문장들, 모두 조동사로 시작하죠.하지만 겉보기엔 단순해 보여도, 이 조동사들에는 미묘한 감정·의도·말투의 차이가 담겨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영어에서 자주 쓰는 조동사 can, will, should를 중심으로각각의 진짜 의미와 뉘앙스 차이, 그리고 실제 문장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친절하게 정리해드립니다. 1. 조동사 can – 능력만 말하는 게 아니야우리가 처음 배우는 can 의미는 주로 “~할 수 있다”이지만, 실제로는 훨씬 다양한 뜻을 갖고 있습니다..